대승경전 『열반경』 중에서
열반의 기쁨

1. 강물은 바다로
부처님께서 제자 까샤빠에게 말씀하셨다.
“너에게 여래가 얻은 오래 사는 업(業)을 말하겠으니 자세히 들어라. 보리(菩提)의 인(因)이 될 만한 게 어떤 것인지 지성으로 들어 그 이치를 알고 다른 사람에게도 알려 주어야 한다. 나도 그러한 업을 쌓아 바른 깨달음을 얻었고, 지금 그 이치를 여러 사람에게 말한다. 보살이 오래 살려거든 중생을 자식처럼 보살펴라. 크게 사랑하고(大慈), 크게 가엾이 여기며(大悲), 크게 기뻐하고(大喜), 크게 버리는(大捨) 평등한 마음을 내어 살생하지 않는 계행(戒行)을 일러 주고 선한 법을 가르쳐라. 모든 중생이 오계(五戒)와 십선(十善)을 잘 지키도록 할 것이며,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의 세계를 다니면서 고통받는 중생을 건져라. 해탈하지 못한 이는 해탈케 하고, 헤매는 이는 건져 내며, 열반을 얻지 못한 이는 열반을 얻게 하고, 두려움에 떠는 이는 위로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업을 짓는 인연으로 보살은 수명이 길고 지혜가 걸림이 없는 것이다.”
까샤빠가 부처님께 말했다.
“부처님 말씀은 보살이 평등한 마음을 닦아 중생을 자식처럼 생각하면 오래 살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저는 그 뜻을 잘 이해할 수 없습니다. 중생을 자식처럼 보살펴 주신 부처님께서는 이 세상에 오래 살아 계시면서 변함이 없어야 할 텐데, 어찌하여 백 년도 못 되어 세상을 떠나려 하십니까?”
“까샤빠여, 강물은 모두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인간이나 천상이나 땅이나 공중에 있는 목숨의 강물도 모두 여래의 목숨 바다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여래의 목숨은 무한하다. 온갖 존재 중에서 허공이 가장 영원하듯, 여래도 모든 중생 가운데서 가장 수명이 길다.”
“부처님, 여래의 수명이 그렇다면 일 겁 동안만이라도 사시면서 중생을 위한 깊은 진리를 비 내리듯 해 주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까샤빠여, 너는 여래가 아주 없어진다고 생각하지 마라. 비구·비구니나 신통을 얻은 선인(仙人)들도 오래 살려고 하면 얼마든지 오래 살 수 있다. 하물며 모든 법에 자재한 여래가 일 겁이나 백 겁을 더 못 살겠느냐. 여래는 항상 머무는 법이고 바뀌지 않는 법이다. 음식으로써 유지되는 몸이 아닌 화현(化現)한 몸이니 이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그렇게 보일 뿐이다. 그러므로 나는 모든 것을 버리고 이제 열반에 들려 한다. 열반이란 여래의 법성(法性)이다. 여래는 영원한 법이고 바뀌지 않는 법이니, 이런 이치를 알고 부지런히 정진하라. 정진한 뒤에는 다른 사람을 위해 널리 가르쳐야 한다.”
- 『열반경(涅槃經)』 「장수품(長壽品)」
2. 멸하지 않는 법의 성품
까샤빠가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부처님, 법의 성품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제가 아는 법의 성품은 있던 것이 없어진다는 말입니다. 만약 있던 것이 없어진다면 몸은 어떻게 존재하며, 몸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거기에 법의 성품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그리고 몸에 법의 성품이 있다면 어떻게 존재할 수 있겠습니까?”
“까샤빠여, 없어지는 것을 법의 성품이라고 하지 마라. 법의 성품은 없어지지 않는다. 여래의 경지는 성문(聲聞)이나 연각(緣覺)으로는 알 수 없다. 여래의 몸이 없어진다고 말하지 마라. 여래가 어느 곳에 머물며, 어디로 다니며, 어디서 보며, 어디서 즐거워하느냐고 묻지 마라. 여래의 법신(法身)과 여러 가지 방편은 헤아릴 수 없으니 불·법·승을 받들어 수행하면서 영원하다고 생각하라. 이 세 가지 법은 다르지도 무상하지도 않으며 바뀌지도 않는다. 만약 이 세 가지 법이 다르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청정한 삼보에 의지하지 못하고, 금지된 계행도 지키지 못하며, 마침내는 성문이나 연각의 보리도 이루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는 여래의 법신과 방편이 영원하다는 생각을 하면 귀의처가 있을 것이다. 나무가 있으면 그림자가 있지 않은가. 여래도 그와 같아서 영원한 법이 있으므로 귀의할 곳이 있어 무상하지 않다. 만약 여래가 무상하다면 여래는 천상이나 인간의 귀의처가 아니다.”
“부처님, 어둠 속에서는 나무는 있어도 그림자는 없습니다.”
“까샤빠여, 그렇게 말하지 마라. 육안으로 볼 수 없다고 없는 게 아니다. 여래의 성품도 그와 같아서 없어지거나 바뀌지 않는다. 다만 지혜가 없는 눈으로는 여래의 성품을 보지 못할 뿐이다. 어둠 속에서 나무 그림자를 볼 수 없는 것처럼, 범부들은 여래의 열반에서 없어지거나 바뀌지 않는 성품을 보지 못하니 무상하다 말할 뿐이다. 여래를 법보(法寶)나 승보(僧寶)와 다르다고 한다면 그것은 귀의할 곳이 못 될 것이다.”
“부처님, 저는 이제 여래와 교법과 승단이 헤아릴 수 없음을 알았습니다. 이 이치를 널리 말해도 믿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들은 오랫동안 무상(無常)만을 겪어 온 사람일 것입니다. 저는 그런 사람들을 위해 서리와 우박이 되겠습니다.”
“착하다, 까샤빠여. 너는 바른 법을 잘 지킬 것이며 사람들을 속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인연으로 오래 살 것이며. 지나간 세상일도 잘 알게 될 것이다.”
• 이 글은 『불교성전』(불교성전편찬위원회 지음, 동국역경원 刊, 2021년) 제3편 「대승경전」에서 발췌했다.
대승경전 『열반경』 중에서
열반의 기쁨
1. 강물은 바다로
부처님께서 제자 까샤빠에게 말씀하셨다.
“너에게 여래가 얻은 오래 사는 업(業)을 말하겠으니 자세히 들어라. 보리(菩提)의 인(因)이 될 만한 게 어떤 것인지 지성으로 들어 그 이치를 알고 다른 사람에게도 알려 주어야 한다. 나도 그러한 업을 쌓아 바른 깨달음을 얻었고, 지금 그 이치를 여러 사람에게 말한다. 보살이 오래 살려거든 중생을 자식처럼 보살펴라. 크게 사랑하고(大慈), 크게 가엾이 여기며(大悲), 크게 기뻐하고(大喜), 크게 버리는(大捨) 평등한 마음을 내어 살생하지 않는 계행(戒行)을 일러 주고 선한 법을 가르쳐라. 모든 중생이 오계(五戒)와 십선(十善)을 잘 지키도록 할 것이며,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의 세계를 다니면서 고통받는 중생을 건져라. 해탈하지 못한 이는 해탈케 하고, 헤매는 이는 건져 내며, 열반을 얻지 못한 이는 열반을 얻게 하고, 두려움에 떠는 이는 위로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업을 짓는 인연으로 보살은 수명이 길고 지혜가 걸림이 없는 것이다.”
까샤빠가 부처님께 말했다.
“부처님 말씀은 보살이 평등한 마음을 닦아 중생을 자식처럼 생각하면 오래 살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저는 그 뜻을 잘 이해할 수 없습니다. 중생을 자식처럼 보살펴 주신 부처님께서는 이 세상에 오래 살아 계시면서 변함이 없어야 할 텐데, 어찌하여 백 년도 못 되어 세상을 떠나려 하십니까?”
“까샤빠여, 강물은 모두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인간이나 천상이나 땅이나 공중에 있는 목숨의 강물도 모두 여래의 목숨 바다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여래의 목숨은 무한하다. 온갖 존재 중에서 허공이 가장 영원하듯, 여래도 모든 중생 가운데서 가장 수명이 길다.”
“부처님, 여래의 수명이 그렇다면 일 겁 동안만이라도 사시면서 중생을 위한 깊은 진리를 비 내리듯 해 주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까샤빠여, 너는 여래가 아주 없어진다고 생각하지 마라. 비구·비구니나 신통을 얻은 선인(仙人)들도 오래 살려고 하면 얼마든지 오래 살 수 있다. 하물며 모든 법에 자재한 여래가 일 겁이나 백 겁을 더 못 살겠느냐. 여래는 항상 머무는 법이고 바뀌지 않는 법이다. 음식으로써 유지되는 몸이 아닌 화현(化現)한 몸이니 이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그렇게 보일 뿐이다. 그러므로 나는 모든 것을 버리고 이제 열반에 들려 한다. 열반이란 여래의 법성(法性)이다. 여래는 영원한 법이고 바뀌지 않는 법이니, 이런 이치를 알고 부지런히 정진하라. 정진한 뒤에는 다른 사람을 위해 널리 가르쳐야 한다.”
- 『열반경(涅槃經)』 「장수품(長壽品)」
2. 멸하지 않는 법의 성품
까샤빠가 다시 부처님께 물었다.
“부처님, 법의 성품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제가 아는 법의 성품은 있던 것이 없어진다는 말입니다. 만약 있던 것이 없어진다면 몸은 어떻게 존재하며, 몸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거기에 법의 성품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그리고 몸에 법의 성품이 있다면 어떻게 존재할 수 있겠습니까?”
“까샤빠여, 없어지는 것을 법의 성품이라고 하지 마라. 법의 성품은 없어지지 않는다. 여래의 경지는 성문(聲聞)이나 연각(緣覺)으로는 알 수 없다. 여래의 몸이 없어진다고 말하지 마라. 여래가 어느 곳에 머물며, 어디로 다니며, 어디서 보며, 어디서 즐거워하느냐고 묻지 마라. 여래의 법신(法身)과 여러 가지 방편은 헤아릴 수 없으니 불·법·승을 받들어 수행하면서 영원하다고 생각하라. 이 세 가지 법은 다르지도 무상하지도 않으며 바뀌지도 않는다. 만약 이 세 가지 법이 다르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청정한 삼보에 의지하지 못하고, 금지된 계행도 지키지 못하며, 마침내는 성문이나 연각의 보리도 이루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는 여래의 법신과 방편이 영원하다는 생각을 하면 귀의처가 있을 것이다. 나무가 있으면 그림자가 있지 않은가. 여래도 그와 같아서 영원한 법이 있으므로 귀의할 곳이 있어 무상하지 않다. 만약 여래가 무상하다면 여래는 천상이나 인간의 귀의처가 아니다.”
“부처님, 어둠 속에서는 나무는 있어도 그림자는 없습니다.”
“까샤빠여, 그렇게 말하지 마라. 육안으로 볼 수 없다고 없는 게 아니다. 여래의 성품도 그와 같아서 없어지거나 바뀌지 않는다. 다만 지혜가 없는 눈으로는 여래의 성품을 보지 못할 뿐이다. 어둠 속에서 나무 그림자를 볼 수 없는 것처럼, 범부들은 여래의 열반에서 없어지거나 바뀌지 않는 성품을 보지 못하니 무상하다 말할 뿐이다. 여래를 법보(法寶)나 승보(僧寶)와 다르다고 한다면 그것은 귀의할 곳이 못 될 것이다.”
“부처님, 저는 이제 여래와 교법과 승단이 헤아릴 수 없음을 알았습니다. 이 이치를 널리 말해도 믿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들은 오랫동안 무상(無常)만을 겪어 온 사람일 것입니다. 저는 그런 사람들을 위해 서리와 우박이 되겠습니다.”
“착하다, 까샤빠여. 너는 바른 법을 잘 지킬 것이며 사람들을 속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인연으로 오래 살 것이며. 지나간 세상일도 잘 알게 될 것이다.”
• 이 글은 『불교성전』(불교성전편찬위원회 지음, 동국역경원 刊, 2021년) 제3편 「대승경전」에서 발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