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대립 갈등, 중도가 대안이다 | 고우 스님 명법문
2023-03-03
고우 스님의 명법문
중도가 부처님이다
은암당(隱庵堂) 고우(古愚) 스님(1937~2021) |
중도는 우주 만물의 존재 원리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싯다르타가 중도를 깨달아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해탈한 부처가 되었고, 이것이 불교의 출발이자 모든 불교의 근본이란 것을 공부했습니다. 결국 모든 불교는 중도를 근본으로 합니다.
‘중도가 부처님’이라는 성철 스님 법어가 있지요. 부처님이 깨달은 중도를 아주 쉽게 말씀하셨는데 여기에 불교의 핵심이 담겨 있습니다.
“중도(中道)가 부처님이니 중도를 바로 알면 부처님을 봅니다.
중도는 중간, 또는 중용(中庸)이 아닙니다.
중도는 … 상대적 대립의 양쪽을 버리고, 그의 모순, 갈등이 상통해 융합하는 절대의 경지입니다. (…)
대립이 영영 소멸된 이 세계에는 모두가 중도 아님이 없어서 부처님만으로 가득 차 있으니, 이 중도실상(中道實相)의 부처님 세계가 우주의 본모습입니다.”
성철 스님은 중도가 바로 부처님이라 했습니다. 그러니 중도를 알면 부처님을 보는 것이죠. 중도는 유교의 중용(中庸)과는 다릅니다. 흔히 중도와 중용을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데 그것은 중도를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주자는 중용(中庸)을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이 도리에 맞는 것이 중(中)이며, 평상적이고 불변적인 것이 용(庸)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중용에는 ‘지나치거나 모자람’과 ‘도리에 맞는 것’이 상대 분별로 나뉘어 있습니다. 중용에는 상대 분별 세계에서 ‘도리에 맞는 중’을 말하지만, 불교의 중도는 모든 상대 분별을 떠나면서도 다 아우르는 원융무애(圓融無礙)한 절대 세계입니다. 즉 유교의 중용은 상대 분별 세계의 어느 경지를 말하고, 불교의 중도는 상대 분별을 융합한 절대 세계 그 자체입니다. 그러니 불교의 중도와 유교의 중용은 이름은 비슷하나 차원이 다르지요.
불교의 중도(中道)는 우주 만물의 존재 원리이자 본래 모습이며 절대 세계입니다. 이 중도의 절대 세계는 모두가 절대적인 존재이고 부처입니다. 선과 악, 나와 너, 남과 북은 상대 분별의 허망한 착각 세계일 뿐입니다. 대립하는 양변에 집착해서 어느 한 면만 보면 상대적으로 보이지요. 나와 너가 다르고, 나는 옳고 너는 틀리다, 이렇게 보게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양변에 집착해서 본래 모습을 보지 못한 착각 세계라는 겁니다.
중도는 우주의 존재 원리이고 실상입니다. 나와 우주 만물은 모두 중도로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이 글을 읽고 있는 ‘나’라는 존재도 독립된 실체가 있다고 보면 착각입니다. 독립된 실체로서 ‘나’는 단 한순간도 있을 수 없습니다. 지금 당장 내가 산소를 호흡하지 않으면 존재할 수가 없어요. 그 뿐만 아니라 음식과 물 없이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독립된 실체로서 ‘나’란 존재할 수 없기에 ‘내가 있다’고 보는 것은 착각입니다. 그렇다고 또 이 글을 읽고 소리를 듣는 나 또한 없는 것도 아니지요? 이렇게 책을 읽고 소리를 듣고 하니까요. 그래서 나는 ‘있다, 없다’ 양변을 떠나되 다 아울러 중도(中道)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나는 ‘있다’고 할 수도 없고, ‘없다’고 할 수도 없으니 이것을 중도라 하는 것입니다.
나뿐만 아니라 집이나 자동차, 휴대폰 등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 실체가 없이 서로서로 의지해서 존재하지요. 이것을 부처님은 중도(中道), 연기(緣起), 무아(無我), 공(空), 불성(佛性), 자성(自性) 등 다양하게 표현했으나 본질은 하나입니다. 일체 만물은 실체가 없이 중도 연기로 존재하니 평등하며 절대 가치를 지닌 본래부터 완전한 부처라는 겁니다. 이것을 선에서는 본래 부처, 본래 성불이라 합니다.
모든 대립 갈등, 중도가 대안이다
그렇다면 중도는 우리 일상생활에 어떤 가치가 있을까요?
우리 인류는 지금도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전쟁하지 않은 날이 하루도 없다고 해요. 늘 싸웁니다. 국가뿐 아니라 집단이나 가족과 개인도 대립 갈등합니다. 진보와 보수, 남과 북, 남녀, 빈부, 노사, 갑을 등등 인간 사회에서 대립과 갈등이 없는 곳이 없습니다. 더 나아가 이런 인간의 대립과 갈등 문제를 해소해나가야 할 종교가 오히려 대립과 갈등의 근본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인류의 전쟁 중에서 상당수가 종교 갈등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 우리는 밖으로도 갈등하지만, 자기 안에서도 갈등이 있지요. 마음이 복잡하거나 고민이 많으면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잠도 편히 자지 못합니다.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면 실수도 잦고 인간관계도 어려움이 생깁니다.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나고 예민하고 화도 자주 내어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이처럼 갈등하면 마음이 편할 수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이런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롭게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요?
인간의 모든 갈등의 근본 원인은 ‘내가 있다’는 착각에서 나오는 집착 때문입니다. ‘나’는 독립된 실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데도 마치 실재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집착하기에 이기심이 나오는 것입니다. 내가 있고, 내가 살아야 하고, 내가 생각하는 것이 옳고, 너는 틀렸다, 이런 생각을 일으키니 서로서로 대립하고 갈등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요? 바로 중도입니다.
중도를 바로 알면,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진보와 보수, 노와 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진보와 보수는 방편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닙니다. 사회제도는 사정에 따라 진보적인 방식과 보수적인 방식으로 서로 의논해서 개선해나가면 됩니다.
노사도 마찬가지입니다. 노동자는 사용자 덕분에 고용되어 일하고 급여를 받아 생활합니다. 가족을 부양하고 아이들 교육하고 문화생활도 하고 저축하며 살아갑니다. 그러니 노동자에게 사용자는 은인과 같습니다. 사용자 역시 노동자들이 일해주는 덕분에 제품을 고객에게 팔아서 그 수익으로 회사를 운영하며 노동자들보다 더 많은 보수를 받고 더 좋은 집, 차로 생활할 수 있으니 일하는 사람들 덕분입니다. 일하는 노동자 없이 그렇게 좋은 생활을 할 수가 없지요.
부부도 마찬가지입니다. 78억 인구 중에 부부의 인연이 된 게 얼마나 소중합니까? 다소 의견 차이가 있고, 성격이 다른 것은 당연한 것이죠. 그러니 서로 사랑하며 위해주며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지요. 그런데 내가 옳다, 잘났다, 너는 틀렸다 등의 생각에 집착하게 되면, 대립하고 갈등하게 됩니다.
사업이나 장사하는 분들도 이 중도를 행하면 도 닦으면서 장사도 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제가 직접 경험한 이야기입니다. 절에 열심히 다니며 식당을 하는 보살님이 계시길래 “손님을 돈으로 보지 말고 은인으로 보고 장사해보시라”고 했어요. 왜, 은인이냐? 손님, 고객 덕분에 직원들 월급 주고, 가겟세 내고, 가족들 먹여 살리고, 아이들 교육시키고 문화생활하고 저축도 하니 손님이 은인입니다. 그러니 식당에 오는 손님을 은인으로 생각하고 하시라 했더니 이분이 한 달 만에 밝은 얼굴로 와서 장사가 대박이라 하더군요. 주인과 손님의 양변에서 장사하는 것은 분별이나 손님을 은인으로 부처님으로 생각하며 장사한다면 장사가 안 될 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나와 네가 둘이 아니라는 중도를 바로 알아 일상생활에서 중도를 실천하면 대립과 갈등을 해소해갈 뿐만 아니라, 모든 일을 원만하게 할 수 있습니다. 빈부, 갑을, 노소, 남녀, 노사, 좌우, 남북, 여야 등 모든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면서 가정이나 직장, 단체, 국가 등 모든 관계를 원만히 지혜롭게 풀어나갈 사상적인 대안이 중도에 있습니다.
은암당(隱庵堂) 고우(古愚) 스님(1937~2021)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선승(禪僧). 각화사 태백선원장, 전국선원수좌회 공동대표, 조계종 원로의원 등을 역임했다.
● 이 법문은 『태백산 선지식의 영원한 행복』(고우 스님 법문, 박희승 정리, 어의운하 刊 2020년)에서 발췌했다.
0